챕터 1-1 : 프로그래밍 기초
변수
-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모리 공간.
두개의 숫자를 입력하면 입력된 숫자의 합을 보여주는 프로그램
코드
결과
배열
- 같은 종류의 데이터를 일정한 순서로 저장하는 자료 구조
- 연속적인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여 효율적인 접근처리 가능
학생 5명의 점수를 입력받고 총점과 평균을 내는 프로그램
코드
cin을 이용하여 score배열에 학생 5명의 점수를 연속적인 메모리에 저장함.
tot라는 변수에 학생들 점수의 총합을 저장함.
사진속 24번째 줄 tot를 구하는 식에서 만약 학생수가 5명이 아니고 100명이라고 하면 일일이 더하기 힘들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한 총합(tot)를 학생수 (5)로 나누게 되면 평균이 나온다. 이를 avg에 저장한다.
이후 값들을 출력해주면 끝 !
결과
함수
- 동일 작업을 매번 반복하는 건 비효율적임. 이에 따라서 작업 자체를 함수로 묶어서 반복사용이 가능하게끔 만든다.
함수에 실수값 전달하기
코드
changeValue() 함수를 통해 num 값을 전달하는데엔 성공했지만 전달하는 방식이 원래num 값을 복사해서 전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실제 num값과는 다르다. 결과값을 보면
이와 같이 함수를 호출한 후에도 num 값은 여전히 5로 변하지 않는 모습이다.
+) 만약 num 값이 변경되도록 하고싶다면 ?!
코드
changeValue함수의 반환타입을 int로 바꾸고, 바뀐 x값을 리턴한다.
이후 main에서 changeValue함수를 그냥 호출하는 것이 아닌, num에 대입함으로써
함수에서 변경된 10이라는 값이 num에 대입되게 된다. 이 코드의 결과를 보면
이와 같이 num 값이 변경된 걸 알 수 있다.
함수에 배열값 전달하기
코드
배열을 전달하는 경우엔 메모리 상의 배열의 위치가 전달됨.
-> 함수 내에서 값 수정시 실제 값 수정됨.
arr[0] 을 처음 초기화 할때는 값이 1이었지만 changeArray함수를 거친 후 42로 값이 바뀌었다.
함수에 참조를 이용하여 값 전달하기⭐
코드
changeValueByReference 함수에서 매개변수인 x를 참조 변수로 선언하여, x의 값을 변경하면 x가 참조하는 원본 변수인 num의 값도 변경된다.
실제로 변경된 모습
나는 참조를 이용해서 함수를 이용한 경우를 보고 포인터로도 구현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강의 내용에 포인터는 없었지만 새로 적어보았다.
+) 포인터를 이용하여 함수에 값 전달하기
포인터를 이용해도 값이 변한다 !
'Unreal_Engine🎮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 Unreal Engine ] TIL 📖 ( 9 ) (0) | 2025.01.21 |
---|---|
[ Unreal Engine ] TIL 📖 ( 8 ) (0) | 2025.01.07 |
[ Unreal Engine ] TIL 📖 ( 5 ) (0) | 2024.12.21 |
[ Unreal Engine ] TIL 📖 ( 4 ) (0) | 2024.12.21 |
[ Unreal Engine ] TIL 📖 ( 3 ) (0) | 2024.12.18 |